HTTP 이야기
HTTP는 TCP위에서 동작하는 Application Layer의 프로토콜이며, 웹 데이터를 주고 받는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. 정식 명칭은 HTTP/1.1 처럼 프로토콜 뒤에 슬래시(/) 후, 버전명을 적는다고 한다. HTTP/0.9 - HTTP/0.9는 최초 고안된 프로토콜로서, 헤더와 바디가 없고, GET Method와 단순한 html 응답만 존재한다. - 단순하기 때문에 one-line 프로토콜이라고도 부른다. - 1개의 커넥션 당 1개의 리소스(데이터)만 요청하고 처리한다. 이게 무슨말이냐 하면.. 아래와 같다. ===TCP 3-Way-handshake ESTABLISHED=== ===HTTP Request=== Header) GET /mypage.html ===HTTP Reponse=== Bo..
Network/HTTP
2021. 2. 4. 17:44
[F5] Oneconnect
F5의 Oneconnect란? - server-side의 TCP 커넥션(3-way-handshake)을 재사용하는 방법 PIOLINK는 Connection Polling이라는 용어를 사용 6번과정으로 PC F5 간 TCP 3Way Handshake를 맺는다. 원래라면 7번과정으로 server-side에서 TCP 3WHS를 맺어야 하지만, 일전에 Oneconnect로 기억된 세션이 있기에 server-side의 3WHS는 재사용된다. 이후에는 HTTP 과정을 진행한다.
Network/LoadBalance
2021. 2. 2. 11:28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vni
- dns 동작 방식
- tag
- ping multi
- http/1.0
- ping
- link aggregation
- dns 동작
- iso8601
- 802.3ad
- VXLAN
- HTTP/1.1
- 윈도우
- bash
- date 과거
- head end replication
- date 미래
- Windows
- Switch
- docker logs
- date 시간 지정
- ssh
- HTTP
- vlan
- date 시간 변경
- http/0.9
- multiple ping
- vtep
- 802.1ax
- data plane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글 보관함